학부

마이크로디그리과정(기후변화대응 미래 농업환경 전문가 양성과정) 안내
마이크로디그리과정(기후변화대응 미래 농업환경 전문가 양성과정) 안내
작성자 생물환경화학과
조회수 491 등록일 2022.08.08

*기후변화대응 미래  농업환경 전문가 양성과정 참여하고 싶은 학생들은 첨부된 파일 잘 확인해주세요.


 ※ 마이크로디그리과정  5과목 모두이수 시 학위증에 마이크로디그리과정 표기됩니다.




기후변화대응 미래 농업환경 전문가 양성과정


주관학과 생물환경화학과: 042-821-6731


□ 과정 목표

❍ 미래 농산업 성장을 견인할 미래농업환경 전문인력 양성

❍ 주전공과 기후변화대응 미래농업환경 분야를 연계한 실무 융합교육을 통한 융합형 인재 양성

 ❍ 기후변화 대응 농업환경 전문가과정을 통해 미래 농업 환경 분야의 탄소중립 및 온실가스 감축 전문 인재 양성 


□ 이수학점(이수방법): 15학점(편성된 5개 교과목 모두 이수)


□ 교육과정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시수

개설학기

수강권장대상

개설학과

1249-1009

기후변화와 농업

3-3-0

2학기

1학년

생물환경

화학과

1249-1008

기후변화와 식물환경

3-3-0

1학기

1학년

1716-0001

기후변화와 도시농업

3-3-0

2학기

3학년

1716-0002

기후변화와 생태학

3-3-0

2학기

2학년

1249-4016

기후변화 연구과제

3-3-0

2학기

4학년


※ 교육과정 변경으로 이전에 이수한 과목은 변경된 마이크로디그리과정의 교과목으로 인정

 - 생태복원학 (1249-2019) → 기후변화와 생태학

※ 이수구분은 ‘일반선택’으로 함(개설학과 소속학생은 ‘전공’으로 인정)


□ 과목별 수강 권장 대상

❍ 자신의 주전공에 기후변화대응 미래농업환경 분야 역량을 융합하여 진로의 폭과 깊이를 더하고자 하는 학생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 식물환경, 도시농업, 생태변화 등에 관심이 있고 관련 분야로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


□ 교과목 개요(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기후변화와 농업

1) 기후변화가 우리 농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개

2) 기후 위기에 따른 식량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

3)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분야의 전망과 과학기술융합 방법 이해

4)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태계, 기상이변과 농작물, 외래동식물 등 다양한 변화에 대해 이해

기후변화와 식물환경

1) 식물의 농업적 이용과 관련된 학문 분야 에 대한 소개
 (작물학, 재배학, 유전학, 육종학, 식물생리학 등)

2) 식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이 삶과 환경에서 식물의 중요성 파악

3) 식물의 농업적 이용 방법을 습득하며, 기후변화에 대비한 식물 연구 방향 고찰

4) 최근 심화 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의 역할과 대응 방안에 대해 이해

기후변화와 도시농업

1) 기후변화 대응 농업전문가과정을 통해 미래 농업환경분야의 탄소중립 및 온실가스 감축 전문 인재 양성

2) 도시농업의 기반 조성, 기술, 관련 법과 제도를 이해

3)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농업방법과 치유농업방법 토론

기후변화와 생태학

1) 환경과 생태에 대한 기본 개념 이해 및 환경 오염 물질에 따른 문제점 등을 파악

2)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파괴 또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과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

3) 생태 및 환경의 물질 순환 및 발생 오염원 종류 파악, 그리고 오염물질 제어 및 관리하는 내용에 대해 이해

기후변화 연구과제

1) 기후변화 대응 농업변화에 대한 연구 및 토론을 통해 미래 농업환경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전문 인재 양성

2) 농업환경분야 기술의 급속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사업 아이템 창출 습득 및 사례실습을 통해 창업역량 강화

3) 기후변화 관련 국내외 주요 연구과제 동향 파악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구체적 진로]

❍ 최근 정부의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발표(‘21.12)에 따라 미래 농업환경분야의 탄소중립 및 온실가스 전문가를 배출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및 농촌진흥청 포함 산하연구기관 취업 확대가 기대 됨

❍ 기후변화에 따른 지속적 생태계 보전 방안 설립 및 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태계 복원 방안 수립 등과 같은 전문적 정책을 기획할 수 있는 전문가 육성에 활용 가능함

❍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농촌진흥청 산하 연구소 진출이 가능하며 정책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과 같은 국가 정책 기관 진출 가

첨부